본문 바로가기

지게차 설계하면서 도면 실수가 생기는 진짜 이유들

지게차 설계자 2025. 7. 10.
728x90
SMALL

 

처음 설계팀에 들어갔을 때, ‘설계는 정확해야 한다’는 말이 참 당연하게 들렸어요.
근데 막상 실무에 들어가 보니… 생각보다 도면 실수가 자주 일어나더라고요.
저도 초반엔 몇 번이나 도면 다시 그리고, 불량도 나고, 조립 현장에서 연락받고 식은땀 흘렸던 기억이 나요.

그때는 그냥 제 실력이 부족해서 그런 줄 알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깨달았어요.
실수는 사람의 문제만이 아니라, 시스템과 환경의 문제일 수도 있구나 하고요.

오늘은 제가 경험한 것들을 토대로,
지게차 설계 직무에서 도면 실수가 왜 일어나는지, 그 이유를 진짜 솔직하게 정리해볼게요.


1. 커뮤니케이션 오류: “그 말이 그 말이 아니었어”

설계는 결국 협업이에요.
생산팀, 구매팀, 심지어 영업팀과도 정보를 주고받아야 하는데… 이게 말처럼 쉽지가 않아요.

한 번은 마스트 부품의 길이를 변경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는데,
‘전체 길이’ 말한 줄 알았더니 실제론 ‘슬라이드 길이’였던 거예요.
결국 잘못된 사양으로 도면이 나가서, 조립 도중 전부 갈아엎는 사태가 생겼죠.
이런 사소한 커뮤니케이션 착오가 진짜 잦아요.


2. 설계 변경 이력 누락: “예전 버전인 줄 몰랐어요…”

도면 파일을 공유하다 보면 버전 관리가 진짜 중요해요.
근데 사내 시스템이 복잡하거나 체계가 약하면, 최신 도면이 아닌 예전 도면을 기준으로 작업하게 되는 경우도 많아요.

저도 실제로 마스트 설계 중간에 작은 수정 하나 했는데,
그게 변경이력서에 누락돼서 나중에 전체 생산 공정에 혼란을 준 적 있어요.
그 뒤로는 ‘문서화’를 무조건 먼저 하게 됐죠.


3. 과중한 업무량: “실수할 여유도 안 줘요…”

설계팀이 한창 바쁠 땐, 진짜 아침부터 밤까지 계속 도면만 그리는 날도 있어요.
특히 납기 앞둔 시기에는 검토 시간 없이 그냥 밀어넣는 경우도 생기는데,
그럴 때일수록 실수가 더 잘 일어나요.

예전에 한 번은 포크 단면도에서 볼트 위치를 반대로 표기했는데,
제가 아니라 검토자가 놓쳤어요. 왜냐면 그날 도면을 20장 넘게 봐야 했거든요.
사람이 로봇이 아닌 이상, 실수는 그렇게 터져요.


4. 표준화 부족: “이게 우리 회사 기준 맞아?”

지게차 부품 설계할 때 제일 애매한 게 ‘기준치’예요.
회사마다 표준이 다르고, 부품별로 도면 양식이나 치수 표기 방식도 달라요.

신입 시절, 실린더 부품 치수를 공차 없이 그대로 작성했다가 선배한테 혼났어요.
우리 회사에선 반드시 ±0.1을 붙여야 하는데, 그걸 몰랐던 거죠.
이런 표준화가 명확하지 않으면 실수는 자연스럽게 따라오게 돼요.


5. CAD 오류 or 자동화 도구의 맹점

요즘은 CAD 툴이 워낙 좋아져서 자동화 기능도 많이 쓰는데,
가끔은 그게 오히려 독이 될 때가 있어요.

한 번은 부품 라이브러리에서 잘못된 3D 형상을 불러왔는데,
그걸 아무도 눈치 못 챘어요. 왜냐면 CAD가 잘 맞물려 보이니까 그냥 넘어간 거죠.
결국 부품 제작 후 실제 조립이 안 되는 상황이 벌어졌어요.


6. 현장 이해 부족: “이렇게 만들 수는 없어요…”

설계자는 도면만 보지만, 실제 제작자나 조립자는 ‘현장’을 봐요.
그래서 설계할 때 현장 조건을 잘 모르면, 실수하기 딱 좋아요.

저는 조립 공정을 직접 본 다음부터야 실수가 확 줄었어요.
‘이건 손이 안 들어가는 위치인데?’
‘용접 기계가 저 각도로 들어갈 수 있을까?’
이런 걸 고려하지 않으면 아무리 도면이 완벽해 보여도, 현실에선 불량이 날 수밖에 없더라고요.


마무리하며

지게차 설계 직무에선 도면 하나하나가 곧 책임이에요.
작은 실수가 큰 비용으로 이어지기도 하니까요.
하지만 동시에, 그 실수가 왜 생겼는지 돌아보면
‘사람 혼자 잘못해서’가 아니라, 구조적인 문제도 많다는 걸 느꼈어요.

그래서 저는 도면을 그릴 때마다 ‘정확함’보다 ‘확인과 소통’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려고 해요.
그리고 후배들에게도 항상 이렇게 말해요.
“실수는 누구나 해. 중요한 건 다음에 반복하지 않는 거야.”

혹시 지금 설계 직무에 계시거나 준비 중이시라면,
이런 실수들 미리 알고 대비하셨으면 좋겠어요!
도움 되셨다면 좋아요나 댓글도 환영입니다 :)


 

 
 
 
728x90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