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게차 좌우안정도 계산기 | 트랙폭과 중심 높이로 보는 횡방향 안정성 분석

지게차 설계자 2025. 8. 26.
728x90
반응형

지게차가 좌우로 전복되는 원인, 무게중심과 트랙폭 때문입니다


지게차는 앞뒤보다 좌우 전복 위험이 훨씬 높습니다.
특히 코너를 돌거나, 경사면에서 작업할 때,
하중이 옆으로 쏠리면서 균형을 잃기 쉽죠.
이번에 소개할 좌우안정도 계산기는 트랙폭과 무게중심 높이만 입력하면
지게차의 횡방향 안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해주어
안전 운행 기준을 세우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왜 좌우안정도가 그렇게 중요한 걸까요?

앞으로 넘어진 지게차보다
옆으로 넘어진 지게차가 더 많은 피해를 일으킵니다.

특히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측면 전복 사고는 생명과 직결되는 중대한 문제죠.

이런 사고의 대부분은
하중이 높이 들렸거나,
속도에 비해 트랙폭이 좁은 경우 발생합니다.


아래 계산기에서 직접 좌우 안정도를 확인해보세요

 

복잡한 물리 공식이나 도면 없이도
지게차의 횡방향 안정계수와 위험 수치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 링크:
https://forklift-lateral-stability.vehiclecalc.com

입력 예시:

  1. 트랙폭(바퀴 간 거리): 1100mm
  2. 무게 중심 높이: 1800mm
  3. 하중: 1200kg
  4. 차체 무게: 3500kg
  5. 마스트 상승 여부: 상승 중

좌우안정도 계산 원리, 어떻게 작동할까요?

횡방향 안정도는 무게중심이 높을수록 불리하고,
트랙폭이 넓을수록 유리합니다.

기본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설명

트랙폭 좌우 바퀴 중심 간 거리
무게중심 높이 전체 하중의 평균 중심 위치
안정계수 트랙폭 ÷ (2 × 중심높이)

이 값이 낮을수록
지게차가 옆으로 쓰러질 위험이 커집니다.


실제 조건별 좌우안정도 비교표

트랙폭(mm) 중심 높이(mm) 하중(kg) 안정계수 위험 등급

1200 1500 1000 0.40 양호
1100 1800 1200 0.31 주의
1000 2100 1500 0.24 위험

안정계수가 0.3 미만이면
작은 회전이나 충격에도 측면 전복 위험이 커집니다.


측면 전복 사고, 왜 이렇게 많이 발생할까요?

  1. 마스트를 든 상태에서 급회전
  2. 램프 모서리에서 중심 쏠림
  3. 사이드 쉬프터로 인해 하중 치우침
  4. 지면 경사 + 무게 편향 조합

이런 문제는 무게중심을 낮추거나
트랙폭을 넓히는 장비 설계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횡방향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1. 마스트 상승 상태에서 회전 금지
  2. 하중을 포크 중앙에 정렬
  3. 낮은 속도로 진입·회전
  4. 전동식 조향 감속 시스템 활용
  5. 트랙폭 넓은 모델 선택

계산기 결과를 바탕으로
장비 재배치나 교육 기준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계산기 결과를 이렇게 활용해보세요

활용 항목 적용 예시 실제 적용 위치

위험 등급 표시 ‘주의’ 구간 자동 경고 작업자 모니터링 시스템
중심 이동 시 재계산 사이드 쉬프터 등 장착 후 분석 장비 구조 변경 시
안전계수 기준 설정 0.35 이상 유지 목표 사내 안전관리 지침 수립

단순히 “넘어지지 않도록 조심하라”는 말 대신
정확한 수치 기준으로 안전한 운행 가이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