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게차 초보자가 가장 많이 하는 실수 5가지 정리

지게차 설계자 2025. 5. 15.
728x90
반응형

자격증 있어도 방심은 금물! 초보 운전자가 현장에서 자주 겪는 문제들


지게차는 비교적 빠르게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자격보다 ‘조작 감각’과 ‘위험 인지 능력’이 더 중요합니다.
특히 초보 지게차 운전자는 현장에서 사고 유발 가능성이 높은 실수를 자주 반복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들이 가장 자주 저지르는 실수 5가지와 그 예방 방법을 소개합니다.


1. 포크(발판) 높이 조절 미숙

가장 흔한 실수는 포크 높이를 맞추지 않고 전진하거나 후진하는 경우입니다.
지게차는 포크가 약간만 들려 있어도 경사로, 턱, 팔레트에 걸려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좁은 공간에서는 물건 손상이나 주변 설비 파손 가능성도 커집니다.

예방 팁:

  • 출발 전 포크는 지면에서 약 10~15cm 유지
  • 후진 시 반드시 하강 확인 후 이동

2. 무리한 급회전과 고속 주행

초보자일수록 "장비가 잘 나간다"는 감각에 익숙해지면
과속 주행이나 회전 구간에서 브레이크 없이 꺾는 실수를 자주 합니다.
이는 적재물 흔들림 → 전도 → 운전자 추락 또는 장비 전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방 팁:

  • 회전 전 반드시 속도 감속
  • 적재 시에는 최대 시속 8km 이하 유지
  • 적재물을 들고 곡선 주행은 절대 금지

3. 무게 중심 계산 오류

지게차는 적재물의 무게 중심이 맞지 않으면 앞뒤로 쉽게 넘어질 수 있습니다.
초보 운전자들은 팔레트의 중심이 아닌 한쪽만 들어 올리거나,
지게차 하중 제한을 넘기는 실수를 자주
합니다.

지게차 용량 최대 적재 무게 (예시) 권장 적재 무게

3톤급 최대 3,000kg 약 2,400~2,700kg
5톤급 최대 5,000kg 약 4,200kg
1.5톤급 최대 1,500kg 약 1,200kg

예방 팁:

  • 팔레트 중심선에 정확히 포크 삽입
  • 적재물 높이가 높을수록 무게를 낮게 유지

4. 후진 시 주변 확인 부족

지게차 사고의 상당수는 후진 중 발생합니다.
초보자들은 “뒤만 보면 된다”는 생각에 측면 시야 확보 없이 후진하거나
신호수 없이 독단 주행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예방 팁:

  • 후진 전 반드시 양쪽 사이드미러 확인
  • 좁은 통로일수록 보행자 유무 육안 확인
  • 가능하면 신호수 배치 요청

5. 적재물 내리기 전 포크 하강 미실시

초보자들이 자주 놓치는 것 중 하나는
적재물을 내리고도 포크를 다시 하강하지 않은 채 그대로 이동하거나 주차하는 실수입니다.
이는 다음 작업자 또는 보행자에게 걸림, 찔림, 파손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방 팁:

  • 적재물 내려놓은 후 포크는 최대한 하강시켜야 안전
  • 퇴근 또는 대기 시에는 엔진 OFF + 포크 완전 하강이 기본

결론: 지게차 초보자, ‘속도보다 반복 점검’이 핵심이다

지게차는 단순 운전 같지만, 매 순간 사고와 마주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초보자가 빠르게 적응하는 방법은 속도를 줄이고, 항상 확인하고, 작은 실수를 줄이는 반복 훈련뿐입니다.
기계 조작보다 중요한 건 “안전 감각과 예측 습관”이라는 점을 명심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