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게차 처음 설계해봤을 때, 내가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솔직히 말해서, 처음 지게차 설계를 맡았을 땐 좀 막막했어요. 어디서부터 손대야 할지도 모르겠고, 뭘 고려해야 하는지도 하나하나 다 새로 배워야 했거든요. 지금은 어느 정도 익숙해졌지만, 그때의 저처럼 처음 시작하는 분들을 위해 설계 프로세스를 한번 정리해봤어요.
이 글이 누군가에겐 ‘길잡이’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1️⃣ 요구사항부터 제대로 파악하기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이 지게차가 어떤 환경에서, 어떤 용도로 쓰일 건지’**를 정확히 이해하는 거예요.
실내에서 쓸 건지, 야외인지. 무거운 화물을 다루는지, 좁은 공간에서 기동성이 중요한지.
제가 예전에 맡았던 건 공장 내부에서 쓰는 소형 전동 지게차였는데, 통로가 워낙 좁아서 회전 반경이 진짜 핵심이었거든요. 이걸 처음부터 몰랐다면 설계를 완전히 다시 했어야 했을지도 몰라요.
2️⃣ 주요 부품 리스트업
지게차는 생각보다 구성요소가 많아요.
엔진(또는 모터), 유압 시스템, 마스트, 포크, 프레임, 조향장치, 제동장치… 하나하나 빠짐없이 리스트업해두는 게 좋아요.
저는 처음에 유압 시스템 설계를 너무 뒤로 미뤘다가, 전체 무게 중심이 어긋나는 바람에 도면을 통째로 다시 그려야 했던 적이 있어요. 그때 진짜 머리 싸매고 밤새웠죠 😅
3️⃣ 구조 설계 – 강도와 안정성 확보
지게차는 무거운 물건을 들고 다니는 장비라서, 무게 중심과 강도 계산이 핵심이에요.
안정성 확보 안 되면, 전복 위험이 진짜 커요.
제가 쓰는 팁 중 하나는, 실제로 지게차에 짐을 실었을 때 무게 중심이 어디로 쏠릴지 3D 모델링으로 미리 시뮬레이션해보는 거예요. 요즘은 무료 툴도 꽤 잘 나와서 초보자도 부담 없이 써볼 수 있어요.
4️⃣ 유압 시스템 설계
들어 올리는 힘은 결국 유압 시스템이 담당하잖아요.
펌프 용량, 실린더 직경, 작동압력… 전부 계산해봐야 해요.
제가 했던 실수 중 하나는, 실린더 크기를 너무 작게 잡아서 화물을 반밖에 못 들었던 적이 있어요. 그 뒤로는 비슷한 모델 스펙을 먼저 찾아보고, 벤치마킹부터 해요.
5️⃣ 전기/전자 부품 배치
전동 지게차라면 전기설계도 중요해요. 배터리 위치, 배선 동선, 제어기 위치까지 다 신경 써야죠.
이건 기계보다 전기 잘 아는 분과 꼭 협업하는 게 좋아요. 저는 처음엔 혼자 다 해보겠다고 했다가 진짜 후회했어요… 😓
6️⃣ 도면 작성 & 검토
모든 설계가 끝났으면, 도면 정리하고 내부 리뷰를 꼭 받아야 해요.
저는 늘 다른 팀원 두 명 이상한테 피드백 받는 걸 기본으로 해요. 내가 못 보는 걸 다른 눈은 쉽게 보더라고요.
✏️ 마무리하며…
지게차 설계는 막연히 보면 어려워 보여도, 차근차근 프로세스만 따라가면 누구나 해낼 수 있어요.
저도 처음엔 버겁기만 했는데, 하나씩 완성돼갈 때 그 뿌듯함이 진짜 크더라고요.
혹시 지금 막 설계를 시작하려는 분이 있다면,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실수해도 괜찮고, 수정하면서 배워가면 돼요.
앞으로 더 많은 분들이 멋진 지게차를 설계하게 되길 응원합니다! 😊
'중장비 > 지게차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게차 운전석, 편해야 오래 탄다 – 인간공학이 중요한 진짜 이유 (0) | 2025.07.18 |
---|---|
지게차 설계 경험 하나 없이 취업 준비했던 나의 이야기 (0) | 2025.07.18 |
기계설계자에게 필요한 시뮬레이션 툴 BEST 5 (0) | 2025.07.17 |
지게차 부품 설계 시 흔히 겪는 문제와 해결법 (0) | 2025.07.17 |
지게차 설계 품질, 어떻게 하면 더 좋아질까? 내가 직접 겪은 '피드백의 힘' (0) | 2025.07.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