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게차 설계 경험 하나 없이 취업 준비했던 나의 이야기
솔직히 말하면, 처음엔 진짜 막막했어요.
설계 쪽으로 취업하고 싶긴 한데, 포트폴리오에 내세울 만한 지게차 설계 경험이 1도 없었던 거죠.
주변에선 “기계 설계는 실무 경험이 전부야” 라는 말만 하니까 더 위축됐던 것 같아요.
그래도 포기할 수 없었고, 뭔가 방법은 있을 거라 믿었어요.
지금은 다행히 관련 직무로 취업해서 일하고 있는데요,
그때 제가 실제로 했던 방법들을 정리해보면 이래요👇
1️⃣ 지게차 구조, 원리부터 철저히 공부
처음엔 무턱대고 설계부터 해보려다가 벽에 부딪혔어요.
그래서 아예 기본으로 돌아가서 지게차가 어떻게 움직이고, 어떤 부품으로 구성돼 있는지부터 하나씩 공부했어요.
유튜브, 논문, 특허자료, 기술 블로그까지 진짜 닥치는 대로 읽고 봤죠.
중요했던 건 그냥 보는 게 아니라, 노트에 내 언어로 정리해보는 거였어요.
“이 마스트는 왜 이렇게 생겼을까?” 같은 의문을 갖고 파고들다 보면 자연스럽게 이해가 되더라고요.
2️⃣ 공개된 도면 따라 해보기
요즘은 CAD나 SolidWorks로 연습할 수 있는 예제 도면들이 많아요.
저는 특히 지게차 마스트 구조, 포크 메커니즘 같은 부품 위주로 따라 그려봤어요.
완전히 똑같이 그리기보단,
“이렇게 하면 무게 중심이 괜찮을까?”
“이 조인트 방식은 조립성 면에서 괜찮을까?”
같은 질문 던지면서 스스로 분석해보는 게 훨씬 도움이 됐어요.
3️⃣ 간단한 지게차 모델 직접 만들어보기
저는 설계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간단한 모델이라도 직접 만들어 봤다’는 게 강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혼자서 소형 전동 지게차 비슷한 구조를 설계해보고, 움직이는 영상까지 만들었어요.
처음엔 완전 엉망이었는데, 피드백 받아가면서 계속 수정했죠.
이걸 포트폴리오에 넣었더니,
“실제 업무는 몰라도 기본적인 메커니즘은 이해하고 있구나”
이런 반응을 얻을 수 있었어요.
4️⃣ 설계만이 다가 아니다!
이거 진짜 중요한 포인트인데요,
지게차 설계라고 해서 무조건 ‘설계 스킬’만 어필해야 하는 건 아니에요.
생산, 조립, 품질, 안전규격, 현장 문제 해결 능력 같은 것도 다 설계에 포함되는 역량이거든요.
저는 알바로 공장 현장 보조했던 경험을 적극적으로 어필했어요.
그때 봤던 볼트 하나하나의 위치까지, 면접에서 얘기하니까 진짜 진지하게 들어주시더라고요.
5️⃣ 모르면 물어보기, 커뮤니티 적극 활용
처음에는 괜히 물어보는 게 창피했어요.
근데 기술 커뮤니티, 설계 관련 오픈채팅방, 유튜버 Q&A 등에 질문 올려보면
진짜 많은 분들이 친절하게 알려주세요.
**“현직자분들이 쓰는 용어와 기준”**을 실제로 듣는 게 엄청나게 도움이 됐어요.
실무 감각이 조금씩 생기니까, 제 포트폴리오도 자연스럽게 현실적인 방향으로 바뀌더라고요.
✔️ 마무리하며
지게차 설계 경험이 없다고 해서 절대 불리한 것만은 아니에요.
중요한 건 “이 직무에 진심이고, 부족한 걸 메우기 위해 뭘 했는지”
그게 진짜로 면접장에서 통했어요.
저도 불안했고, 좌절도 많이 했지만
한 걸음씩 준비해간 그 시간이 결국 저를 설계자로 만들어줬어요.
혹시 지금 이 글을 보는 당신도 같은 상황이라면,
“경험이 없다”는 걸 두려워하지 마세요.
대신 “내가 준비한 것”에 대해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도록, 지금부터 하나씩 해보는 거예요.
저도 그렇게 했고, 결국 해냈으니까요.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중장비 > 지게차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게차 설계, 자격증이 꼭 필요할까? 내가 직접 부딪혀보니... (0) | 2025.07.19 |
---|---|
지게차 운전석, 편해야 오래 탄다 – 인간공학이 중요한 진짜 이유 (0) | 2025.07.18 |
지게차 처음 설계해봤을 때, 내가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0) | 2025.07.18 |
기계설계자에게 필요한 시뮬레이션 툴 BEST 5 (0) | 2025.07.17 |
지게차 부품 설계 시 흔히 겪는 문제와 해결법 (0) | 2025.07.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