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게차 허용하중 계산 방법과 안전 적재 기준 총정리

지게차 설계자 2025. 7. 31.
728x90

지게차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허용하중 계산이 필수입니다

지게차를 활용한 적재 작업은 산업 현장에서 매우 빈번하게 이루어지며, 이때 가장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바로 허용하중입니다.
이 글에서는 지게차 허용하중 계산의 필요성, 계산 방법, 그리고 마스트 높이별 안전 적재 기준까지
종합적으로 정리해 드리며, 안전한 작업환경을 위한 체크포인트까지 알려드립니다.

 

 


지게차 허용하중이란?

지게차 허용하중이란 지게차가 안전하게 들어 올릴 수 있는 최대 하중을 의미합니다.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본 사양 외에도 마스트의 높이, 포크 길이, 하중 중심 거리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즉, 단순히 스펙에 나온 수치만 보고 판단하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마스트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하중 변화

마스트가 높아질수록 지게차의 무게 중심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허용하중은 감소합니다.
예를 들어, 3m에서 2,500kg을 들어 올릴 수 있는 지게차라 하더라도 4.5m로 마스트를
올리면 실제 허용하중은 1,800kg 이하로 낮아질 수 있습니다.

마스트 높이(m) 허용하중(kg)

3.0 2500
4.0 2100
4.5 1800

하중 중심 거리(Center of Load)의 개념 이해

하중 중심 거리란 포크 끝에서부터 적재물의 중심까지의 거리입니다.
일반적으로 500mm를 기준으로 삼지만, 이 거리가 늘어날수록 허용하중은 낮아집니다.
아래 표는 하중 중심 거리에 따른 허용하중 변화 예시입니다.

하중 중심 거리(mm) 허용하중(kg)

500 2500
600 2300
700 2000

공식 기반 허용하중 계산 방법

공식적으로는 다음의 계산식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허용하중 = 정격하중 × (기준 하중 중심 거리 ÷ 실제 하중 중심 거리)"
예를 들어 정격하중이 2500kg, 기준 거리 500mm, 실제 거리 600mm인 경우:
2500 × (500 ÷ 600) = 약 2083kg이 됩니다.


지게차 허용하중 계산기 사이트 활용법

아래 웹사이트를 이용하면 수치를 직접 입력하여 간편하게 허용하중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실제 작업 환경에 맞춘 안전 적재 기준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사이트 주소: forklift-load-capacity.vehiclecalc.com


해당 사이트는 마스트 높이, 하중 중심 거리, 지게차 모델 등의 정보를 입력하면
즉시 안전 허용하중을 자동으로 산출해줍니다.


허용하중 초과 시 발생 가능한 사고

지게차의 허용하중을 초과할 경우 다음과 같은 위험이 따릅니다.
첫째, 지게차 전복 위험.
둘째, 포크 하강 또는 적재물 낙하 사고.
셋째, 운전자의 부상 및 설비 파손.
모든 작업자는 이러한 위험성을 인지하고, 허용하중 계산을 작업 전 습관화해야 합니다.


현장 안전 확보를 위한 점검 체크리스트

  1. 작업 전, 지게차 사양서 확인
  2. 마스트 높이와 하중 중심 거리 측정
  3. 계산기 활용하여 허용하중 산출
  4. 적재물 무게 측정 후 비교
  5. 이상 시 즉시 작업 중단

허용하중 계산은 선택 아닌 필수

지게차 작업의 핵심은 안전입니다.
그 안전을 지키는 출발점이 바로 허용하중의 정확한 계산입니다.
공식과 계산기 도구를 적절히 활용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