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게차 설계 직무, 연봉과 커리어 패스… 궁금했죠?

지게차 설계자 2025. 7. 15.
728x90

요즘 기계 설계 쪽 관심 있는 분들이 많잖아요. 저도 처음엔 “지게차? 물건 나르는 기계 아냐?” 이 정도만 알고 있었거든요. 근데 실제로 이 분야에서 일해보니까 생각보다 훨씬 복잡하고, 또 꽤 매력적인 직무더라고요. 오늘은 제가 지게차 설계 직무에 대해 느낀 점, 연봉, 그리고 커리어 패스까지 솔직하게 얘기해볼게요.


지게차 설계 직무, 정확히 뭐 하는 걸까?

한마디로 말하면, **“물건을 효율적으로 들고 나르기 위한 기계를 똑똑하게 설계하는 일”**이에요.
지게차라고 해도 다 똑같은 게 아니거든요. 들어올릴 수 있는 무게, 크기, 작업 환경(실내/실외), 전기식이냐 디젤식이냐에 따라서 구조가 완전히 달라져요.

제가 맡았던 업무를 예로 들자면,

  • CAD를 이용해서 지게차 프레임이나 마스트 구조를 설계하고,
  • FEM(유한요소해석)으로 강도나 내구성을 검토하고,
  • 실제 양산에 들어가기 전, 프로토타입 테스트까지 관여하는 경우도 많았어요.

한 번은 극지방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 지게차 모델 설계를 맡았는데요. 배터리 방전 문제 때문에 열선 설계부터 시작해서 엄청 신경 써야 했던 기억이 나요. 이처럼 단순히 도면만 그리는 게 아니라, 실제 사용 환경까지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복합적인 일이에요.


연봉은 어느 정도 받을까?

가장 궁금한 부분이죠. 연봉은 회사 규모나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신입 기준으로는 연 3,500만 원~4,000만 원 정도에서 시작하는 경우가 많아요.
경력을 쌓아가면 연봉은 점점 오르는데,


510년차쯤 되면 5,000만 원 중후반7,000만 원대까지도 가능해요.
대기업이라면 당연히 더 높고요. 실리콘밸리처럼 억대 연봉은 아니지만, 기술력을 인정받는 만큼 안정적이에요.

저는 처음엔 솔직히 연봉보다도 "설계 경험을 제대로 쌓아보고 싶다"는 욕심이 더 컸어요. 그런데 몇 년 지나고 나니, 연봉도 자연스럽게 따라오더라고요. 야근이 많은 편도 아니라 워라밸도 괜찮은 편이고요.


커리어 패스는 어떻게 이어질까?

이 직무의 장점은 “하드 스킬”이 탄탄하게 쌓인다는 거예요. 그래서 커리어 방향도 다양해요.

  1. 설계 전문가 트랙
    계속해서 기계 설계 전문성을 키우면, **수석 엔지니어나 기술 책임자(TL)**로 성장할 수 있어요. 특정 부품(예: 마스트나 유압장치) 전문가가 되면 시장에서 꽤 귀한 인재로 인정받기도 해요.
  2. R&D / 기술기획 쪽으로 전환
    일정 수준 이상의 설계 경험이 쌓이면, 제품 개발 방향을 기획하는 포지션으로 이동할 수 있어요.
    예전에 같이 일하던 선배는 설계하다가 R&D 부서로 이동해서, 지금은 신규 지게차 플랫폼 기획 업무를 하고 있더라고요.
  3. 생산 기술 / 품질 쪽 커리어로 연결
    설계 경험이 있으면 제조와 품질관리 쪽으로도 갈 수 있어요. 설계도를 직접 이해할 수 있으니까, 현장과 소통이 훨씬 수월하거든요.
  4. 해외 취업 or 프리랜서 설계자
    CATIA, SolidWorks 같은 툴을 능숙하게 다루면 해외 기계 설계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일도 가능해요. 저도 최근에 프리랜서 플랫폼에서 외주 설계 제안을 받은 적 있는데, 생각보다 조건이 좋았어요.

이 직무, 나랑 잘 맞을까?

딱 하나만 짚자면, **“머리로 설계하고, 손으로 구현하는 걸 좋아하는 사람”**에게 정말 잘 맞는 직무예요.

도면 그리는 게 단순히 기술적 작업이 아니라, 창의력도 필요하거든요.
“이 구조가 실제로 작동할까?” “이 재질로 충분히 버틸까?” 이런 고민들을 매일 하게 돼요.
한 번은 제 아이디어로 설계한 부품이 실제 제품에 채택된 적이 있었는데, 그때 정말 뿌듯했어요.


마무리하며

지게차 설계는 단순히 공장에서 기계 그리는 일이 아니라,
사람들이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돕는 '숨은 설계자' 역할이라고 생각해요.

기계 설계에 관심 있다면, 지게차는 꽤 괜찮은 출발점이 될 수 있어요.
물론 쉽지만은 않지만, 그만큼 배울 것도 많고, 성장할 수 있는 길도 넓어요.

혹시 이 분야 준비 중이시라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주세요 :)
제가 아는 한 최대한 현실적인 조언 드릴게요!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