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 운영 효율 높이는 컨테이너 크레인 배치 전략
컨테이너 크레인의 배치는 항만의 하역 속도, 장비 회전율, 야드 효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적절한 크레인 배치는 동일한 인프라에서도 두 배 이상의 처리 효율을 만들 수 있는 핵심 전략입니다.
어떻게 크레인을 배치하면 하역 효율이 올라갈까?

항만에서 컨테이너 크레인을 효과적으로 배치하려면
선박 크기, 터미널 구조, 야드 레이아웃, 장비 특성, 자동화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STS, RTG, RMG 등 크레인 종류별 배치 전략이 달라지며,
선박 접안 방식과 물류 흐름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되어야 최적의 성과를 냅니다.
STS 크레인: 안벽 크레인 배치 전략

STS(Ship to Shore) 크레인은 선박과 부두를 연결하는 가장 핵심 장비입니다.
하역 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장비인 만큼, 정밀한 간격과 수량 배치가 필수입니다.
항목 전략 내용
| 배치 간격 | 최소 30~35m 간격 유지 (트롤리 충돌 방지) |
| 크레인 수량 기준 | 1만 TEU급 선박 기준 최소 4대 이상 투입 |
| 동시 하역 구간 분할 | 선박을 전·중·후방 구간으로 나눠 병렬 하역 처리 |
| 이동 레일 분리 | 크레인 간 독립 레일 구간 확보로 충돌 최소화 |
| 연동 장비 고려 | AGV/터미널 트랙터 대기 공간 확보 필수 |
핵심: 크레인의 간섭을 줄이고, 병렬 작동 구조를 만들어야 하역 속도가 극대화됩니다.
RTG 크레인: 야드 배치 효율 전략

RTG(Rubber Tyred Gantry) 크레인은 야드 내 컨테이너 적재를 담당하며,
고무 바퀴형으로 이동성과 유연성이 뛰어난 것이 특징입니다.
전략 요소 배치 방법 및 고려 사항
| 스트래들 방식 적재 | 6 |
| 구역별 전용 크레인 배치 | 수출/수입/환적 컨테이너 구역 분리 후 전용 RTG 지정 |
| 자동유도 시스템 연동 | RTLS/GPS 기반 자동 위치 유도 시스템 활용으로 야드 혼잡 최소화 |
| 보조 작업자 동선 확보 | 크레인 움직임과 인력 통행 경로 분리 → 안전성과 작업 효율 확보 |
핵심: RTG는 기동성을 활용한 구역별 전담 배치와 자동 유도 시스템의 연동이 효율의 열쇠입니다.
RMG 크레인: 자동화 기반 고정형 배치 전략

RMG(Rail Mounted Gantry) 크레인은 레일 기반의 고정형 장비로,
자동화 비율이 높고 반복 작업에 적합합니다.
특히 대규모 야드 자동화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배치 전략 적용 방식
| 고정 레일 간격 설계 | 컨테이너 6~12열 기준, 레일 간 충돌 방지 거리 확보 |
| 무인 트롤리 연동 | 자동 스태킹 시스템 + AGV 연동 고려 배치 |
| 고정 작업구간 분할 | 각 RMG에 고정된 적재 구역 할당으로 중복 작업 방지 |
| 원격 모니터링 포인트 구성 | 관제실에서 실시간 상태 확인 가능하도록 영상·센서 인프라 구성 |
핵심: RMG는 명확한 분업 배치와 자동화 센터의 운영 통합이 필수 요소입니다.
크레인 배치 시 고려할 공통 요인

구분 필수 고려 사항
| 선박 회전율 | 입출항 빈도에 따라 크레인 수량 탄력 조정 필요 |
| 터미널 구조 | 야드 면적, 트럭 동선, 게이트 위치에 따른 레이아웃 설계 필요 |
| 자동화 수준 | 자동 크레인 도입 시 운전자 간섭 최소화를 위한 거리 조절 필수 |
| 안전 확보 | 크레인 간 충돌 방지, 비상 정지구역 확보 등 필수 고려 요소 |
크레인 배치 최적화를 위한 기술 도구

- TOS (터미널 운영 시스템)
- 크레인 가동률, 병목 구간 분석
- 작업 스케줄링 자동 조정
-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 가상 시나리오 기반 배치 테스트
- 크레인 동선 최적화 시뮬레이션 가능
- RTLS/GPS 기반 위치 제어 시스템
- 자동 유도 및 충돌 방지 기능
- 장비·트럭 간 실시간 위치 공유
배치는 기술과 운영 전략이 융합되어야 비로소 최적의 결과가 나옵니다.
'중장비 > 컨테이너크레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컨테이너 크레인 정비 주기와 고장 부위, 안전을 위한 실무 가이드 (0) | 2025.06.20 |
|---|---|
| 컨테이너 크레인, 똑똑하게 관리하는 법: 정비 주기 & 주요 고장 부위 완벽 해부! (2) | 2025.06.20 |
| 자동화 컨테이너 크레인, 국내 항만 도입 현황과 남은 과제 (1) | 2025.06.20 |
| 컨테이너 크레인과 가니트 크레인, 현장에서의 차이점은? (0) | 2025.06.19 |
| 컨테이너 크레인 사고 사례와 예방 포인트, 실무 현장의 교훈 (0) | 2025.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