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게차 허용하중 계산기 | 마스트 높이에 따른 안전한 적재 무게 확인법

지게차 설계자 2025. 9. 2.
728x90
반응형

마스트를 올릴수록 지게차가 들 수 있는 무게는 줄어듭니다


지게차는 정격 하중이 있다고 해서 항상 그 무게를 들 수 있는 건 아닙니다.
특히 마스트가 상승할수록 무게 중심이 이동하며 안정성이 급격히 떨어지고,
실제 허용 가능한 하중도 줄어들게 됩니다.
이번에 소개할 계산기를 활용하면 마스트 높이, 하중 중심 거리 등을 기준으로
현재 조건에서 지게차가 **안전하게 들 수 있는 최대 하중(kg)**을 정밀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왜 마스트 높이에 따른 허용하중 계산이 필요할까요?

마스트를 높이 들수록 하중이 앞쪽으로 기울고,
그만큼 지게차의 무게 중심은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럴 경우,

  • 전방 전복 위험 증가
  • 조작 불안정
  • 제동 시 하중 낙하
    같은 사고로 이어질 수 있죠.

허용하중 계산은 사고를 예방하고 적재 기준을 명확히 하기 위한 필수 절차입니다.


아래 계산기로 최대 적재 가능 무게를 확인해보세요

쿠팡링크 클릭하시어, 주문하시면 저에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몇 가지 기본 사양만 입력하면
마스트 상승 상태에서의 **최대 허용하중(kg)**과
작업 허용 범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 링크:
https://forklift-load-capacity.vehiclecalc.com

 

지게차 허용하중 계산기 | 안전 적재량 자동 계산

지게차 허용하중 계산기 안전한 적재량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작업 안전성을 확보하세요. PC에서 보시면 더욱 좋습니다. 이 계산기가 도움이 되셨나요? 동료들과 공유하여 더 안전한 작업 환경을

forklift-load-capacity.vehiclecalc.com

 

입력 예시:

  1. 정격 하중: 2500kg
  2. 기준 중심 거리: 500mm
  3. 실제 중심 거리: 600mm
  4. 마스트 높이: 4000mm
  5. 안전 계수 적용 여부: 적용

허용하중 계산 원리 정리

지게차 허용하중은 무게 중심 거리와 마스트 높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보정됩니다.

항목 설명

정격 하중 지정된 기준 위치에서의 최대 하중
기준 중심 거리 일반적으로 500mm로 설정됨
실제 중심 거리 팔레트나 화물 중심 위치
보정 계수 무게중심 증가 및 마스트 상승에 따른 안정성 감소 반영

공식:
허용하중 = 정격하중 × (기준 중심거리 ÷ 실제 중심거리) × 마스트 보정계수


조건별 허용하중 비교표

정격 하중(kg) 중심 거리(mm) 마스트 높이(mm) 허용하중(kg) 위험 등급

2500 500 3000 약 2500 안전
2500 600 4000 약 2000 주의
2500 700 5000 약 1700 위험

허용하중은 마스트 높이가 올라가거나
화물이 멀리 있을수록 급격하게 감소합니다.


허용하중 초과 시 발생하는 문제들

 

  1. 마스트 굴곡 → 수직 강도 저하
  2. 앞바퀴 하중 과도 집중 → 타이어 파손
  3. 브레이크 미끄러짐 → 하중 낙하
  4. 작업자, 보행자 안전 위협

정격 하중만 믿고 무조건 들기보다는
현재 적재 조건에 맞는 하중 계산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실무 적용을 위한 안정 하중 설계 전략

  1. 마스트 최고 높이 기준 하중표 부착
  2. 하중 중심 거리 시각화 스티커 부착
  3. 기준 거리 초과 시 자동 경고 시스템 설치
  4. 부피 큰 화물은 하중 감소 기준 강화 적용
  5. 작업자 대상 "허용하중 변화 교육" 주기적 실시

계산기를 활용하면
이 기준들을 수치화해 명확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계산기 활용 방법 요약

항목 적용 예시 적용 위치

허용하중 특정 작업 구간 적재 한계 설정 창고 내 출입구, 적재 구역
중심 거리 경고 팔레트 규격 별 제한 기준 입고 검수 기준표
마스트 높이별 감산표 고상 적재 작업 시 참조 지게차 내부 디스플레이 또는 매뉴얼

지게차는 무게를 '들 수 있느냐'보다 ‘안전하게 들 수 있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